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eR6_rZW62o
[정리]
트럼프 대통령 탄핵? 3월 공매도? 코스피 조정이 온다면? 기억해야할 그래프 2개
1. 트럼프 탄핵
트럼프가 정말로 그렇게 뭘 못했나? 임기 동안 주가 상승률을 확인해보자.
오바마 1위(리먼 때부터 시작하셔서 좀 높음), 클린턴 2위, 트럼프 3위.
트럼프가 재정 부양 많이하고, 빚도 깎아주는 등 친기업적인 정책을 통해 국가 빚 늘려 주가를 부양했다는 평?
그럼 미국 대통령 중 빚 가장 많이 낸 순위도 확인해보자.
조지부쉬 1위, 오바마 2위, 트럼프 3위.
(근데 사실 이것도 코로나 때문에 급격히 늘어서 그렇게 증가율만 보면 가장 빚 안진 대통령임.)
사실 빚을 내서 증시 올리는건 민주당 정권이다.
자 그럼, 우리는 뭐 특정 정치성향에 대한 호불호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런 이야기를 하는건 아니니까.
위 데이터를 보면, 민주당 정권에서는 1) 빚도 많이 내고, 2) 증시도 좋다.
2. 공매도 3월?
정세균 : 공매도는 좋지 않은 제도..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다.. (...?? 흠...)
3월 공매도에 대한 우려. 하지만 부산시장 선거가 4월. 그 이후일 수도. 가능성을 열어두고 보자.
3. 코스피 조정?
이미 왔다.
그럼 다음 조정은? 몰라요.
다음 조정이 온다면? 계획은 세울 수 있지.
코스피 200지수. 고점 대비 이미 10% 빠진 모습. 조정은 왔다.
시장이 하락할 때 기억해야할 3가지
1. 연준이 킹이다 : 연준이 돈 늘린다고하면 시장은 간다.
2. 연준이 평균물가목표제(AIT)를 정책으로 삼고있다 : 인플레 2.5%가 와도 금리 인상은 없을거다.
(브레이너드 이사 : 인플레 2.5%가 1년 이상 지속되어야 우리는 금리를 움직일 것이다.)
3. 지금은 금리상승 초입기다 : 금리상승은 좋은거다
조정이 온다면 기억해야할 2가지 그래프
1. 10년 주기 불황 후 고용이 정상화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그래프
리먼 때 -6%까지 실업률이 증가했고 80개월 걸림.
00년 때는 -2% 데미지가 왔고, 49개월 걸림.
그럼 이번엔? -14%까지 왔음. 그럼 얼마나 걸릴까? 연준의 예상은 최소 49개월.
연준의 입장
제롬 파월 : 우리는 경제가 매우 Solid해지기 전까지 계속 Support 할 것이다.
여기서 경제는?? 고용이다.
2. 실업률과 2-10 스프레드 그래프
실업률과 2-10 스프레드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.
실업률을 누가 조정해? 2-10 스프레드가.
2-10 스프레드는 누가 조정해? 2가 조정해.
2년채 채권은 누가 조정해? FFR이 해 (연준 금리)
그럼 FFR 누가 정해? 연준이 해.
그럼 조금 오버하면 연준이 실업률 결정하는 것.
경기가 좋아지면(실업률 낮아지면), 연준이 금리를 올리고 그러다 고점이 되면 2-10 스프레드가 저점이 되고.
사실 코로나 위기가 아니었어도, 실업률도 올라가고 금리도 올라갔어야했는데 코로나 때문에 판이 깨진 상황.
그럼 실업률이 저점이 되기 위해서는 위의 그래프처럼, 2-10이 한 번 호황을 갔다가 다시 내려와야하는데 얼마나 걸릴 것인가? 연준 위원들이 이야기하는 23, 24, 25개월은 이런 데이터들로부터.
'국내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차 전지] 전고체배터리 기술 변화에 따른 밸류체인 및 기업 전망 (0) | 2021.01.18 |
---|---|
[투자 마인드] 투자를 하기 전에 알아야 하는 것들 1 (0) | 2021.01.15 |
[세테크] 연금저축/IRP/ISA (0) | 2021.01.14 |
[덕산테코피아] OLED 기업의 2차전지 사업 확장 (0) | 2021.01.14 |
[매크로] 연준 테이퍼링?, 인플레이션 우려?, 경기 회복 언제쯤? (21년 1월 13일) (0) | 2021.01.13 |
댓글